열람하기

 

열람하기

전체 475건

전체 11/53

유성구생활/복지

2022-08-17

청년층의 아픔을 보듬어 주세요

우리가 살고 있는 대전이라는 도시는 많은 대학이 있는 교육과 연구의 고장입니다. 특히, 유성구는 충남대, 카이스트, 한밭대학교 등의 국립대를 포함하여 많은 대학이 밀집되어 있습니다. 이처럼 대학가가 밀집한 도시는 청년층이 많이 분포하고 있으며 활기와 활력이 있는 도시가 되기 마련입니다. 하지만 현재 유성구는 낮은 취업률, 경쟁 사회로 인해 젊은 층은 아파하며 고통받고 있습니다. 우리는 취업난 속 취업을 준비하며 고통받는 청년, 안정적인 일자리를 찾기 위해 공무원에 도전하는 청년, 자신의 진로에 대해 길을 못 찾는 청년 등 주변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이는 매우 과거와 대조되는 사회현상입니다. 청년들은 입 모아 말하고 있습니다. ‘더 이상 이 나라에 기회는 없고, 취업을 하고 난 뒤에도 높은 집값과 학자금 대출이 남아있다’고 말입니다. 청년들의 자존감은 떨어지고 우울한 현 상황 속 청년 문제점이 대입된 유성구는 과거와 비교했을 때 도시 활력을 잃은 상태입니다. 과연 교육과 연구의 고장인 대전에 알맞은 그림인지 의문입니다. 청년층은 대한민국의 미래이며 밝을 필요가 있습니다. 하지만 이들은 현재 우울하고 청년 자살률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들에게 필요한 것은 자기개발만 있는 것이 아닙니다. 자기 사랑도 필요합니다.   청년층이 밀집된 대전의 특성을 고려하여 청년 정책은 매우 중요하고 우선적이라고 생각됩니다. 이미 국가와 지자체는 다양한 청년 정책을 펼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정책은 생활부터 구직 등 다양한 범위에서 실시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들의 마음 깊숙한 상처를 보듬어주는 정책은 미비합니다. 대전은 청년의 상처를 보듬어주며, 지역 특색과 결합된 또 다른 정책과 사회적 변화가 필요하다고 생각됩니다. 이를 통해 청년층의 미소와 함께 대전의 활기를 되찾았으면 좋겠습니다.

공통문화/관광

2022-08-04

'노잼 도시 대전'에서 벗어나기

안녕하세요. 현재 한밭대학교에 재학중인 27살 청년입니다. 먼 타지인 여수에서 줄곧 자라와 한 번도 대전에 가본 적 없던 과거의 저에겐  '대전'이란 도시가 주는 이미지는 바로 '노잼'이었습니다. 미디어와 심지어 주변 지인들 조차 '대전에는 성심당 말고는 볼 게 없다.' 라고 입버릇  처럼 말했으니까요. 그러나 막상 도착해 살게된 대전의 이미지는 제가 생각했던 것 보다 훨씬 역동적이고 다양한 볼거리가 많은 곳 이었습니다. 가깝게는 한밭수목원부터 다양한 이색 카페들 등등, 대전이 '노잼도시'라는 이미지로 고착화 된 것이 안타까울  만큼 아름답고 개성있는 장소들이 많았습니다.  만약 적절한 홍보와 마케팅을 통해 앞선 장소들이 널리 알려진다면 대전은  많은 관광객을 유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역사회 활성화에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이를 위해 세 가지를 제안합니다. 첫째, 유명 유튜버와의 협찬을 통해 숨겨진 지역 명소들을 알린다. 유튜브에는 자신의 일상, 여행을 브이 로그 식으로 업로드 하는 유명 유튜버들이 있습니다. 이들과의 협찬을 통해 대전의 아름다움을 알린다면, 주 시청인구인 젊은 층들의 유입을 이끌 수 있을 것입니다. 둘째, 노점상 거리 조성입니다. 시의 허가를 받은 뒤, 여러 음식들을 파는 노점상 거리를 조성하면 분명 지역의 특색으로 자리잡아 인기를 끌게 될 것입니다 셋째. 인스타그램과 같은 sns 계정을 통해 지속적으로 홍보와 소통을 하는 것입니다. 이 과정에서 참여자 일부를 선정해 경품을 지급함으로써 참여를 유도하며, sns 의 특성상 쉽게 재확산이 됨으로 소규모의 예산을 통해 많은 홍보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